처리장치
처리장치 : CPU와 주기억장치
- 중앙처리장치 (CPU) : 제어장치와 레지스터, 산술논리연산장치
* 중앙처리장치 : 처리를 실행하는 전자회로, 레지스터가 들어있다.
명령어를 해석하고 명령어가 명시한대로 계산하고 데이터를 이동시키며,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을 제어
* 산술논리 연산장치 : 가감승제 및 논리명령을 수행하는 전자회로가 있다
* 제어장치 : 컴퓨터시스템 전체를 지시 감독하며 조정, 입력과 출력제어, 연산 제어, 데이터 이동
* 프로세서 레지스터 : 처리할 명령어 저장
(마이크로 프로세서 : 연산장치와 제어장치를 1개의 작은 실리콘 칩에 집적시킨 처리장치)
수치데이터의 표현과 진법 변환
- 데이터의 기본단위는 비트
- 1(on 상태) 0 (off 상태)
2, 8, 10, 16 진법 어떻게 변환하는지 공식을 알면 좋음
수치데이터의 표현
문자데이터의 표현
ASCII는 미국 정보교환 표준코드로, 개인용 컴퓨터 및 데이터 통신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됨
ASCII : 7bit + 1bit(검증) = 256개
UNICODE : 16비트로 확장, 세계의 모든 언어들을 표현 = 65536개
주기억장치 주소와 데이터 저장
주기억장치 내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최소 기본단위는 : bit
* 주기억장치의 각 바이트는 단일 주소를 갖는다
* 숫자, 영문자, 특수문자가 입력장치에서 읽혀 주기억장치로 보내지면, 비트의 형태로 바뀌어 기억된다.
* 한 번 데이터가 수록되면 그 내용이 바뀔 때까지 남아있게 된다.
* 고급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
- 기계어로 변역
- 주기억장치에 저장
- 처리기 전자회로가 해석하고 실행
기계어 명령어의 형식
주기억 장치의 발달 과정
진공관 → 자기코어기억장치 → 반도체 기억장치 ( 1960 ~ 2000년대(1000억개 이상의 소자 집적))
RAM
SRAM : 전원이 공급되는 한 내용이 그대로 유지된다.
→ 캐시메모리로 이용
DRAM :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내용의소멸을 방지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리프레싱을 해야한다.
→ 주기억장치에 주로 사용함
ROM (Read Only Memory)
ROM: 메모리가 제작될 때 데이터를 이 안에 기록한다
PROM : ROM과 같은 기능, 이용자가 PROM을 조립해 넣기전에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음
입력, 처리, 출력의 데이터 처리과정
데이터처리
- 필드 :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
- 레코드 : 여러 필드의 모임, 하나의 처리단위
- 파일 : 레코드들이 모여 하나의 파일을 구성
기록매체 : OMR/OCR카드,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기본적인 자료 처리과정
주기억 장치에 입력하는 방법 : 음성, 키보드, 마우스, 펜, 처피스크린, OMR, OCR, MICR카드,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HDD,DVD, USB
출력방법 : 프린터, CRT, LCD 터미널,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HDD, USB메모리
컴퓨터 명령어의 수행과정
요약정리
- 중앙처리장치(CPU)는 컴퓨터의 핵심 부분으로 산술논리연산장치와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산술논리연산장치(ALU)는 산술 및 논리연산기능을 수행하고, 제어장치(control unit)는 전체의 컴퓨터시스템을 지시하며 조정한다.
-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를 받아 처리하는 컴퓨터시스템은 주기억장치에 기억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출력을 만든다.
- 컴퓨터시스템의 처리장치는 주기억장치와 중앙처리장치(CPU)로 이루어져 있다.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단위는 비트(bit : binary digit)이고 데이터는 주기억장치 안에서 0(off 상태)과 1(on 상태)을 나타내는 일련의 비트들로서 표현된다.
- 수치정보는 2진수로 표시되며, 값의 크기를 표시할 수 있는 비트의 수가 일정할 때 고정장 워드머신(fixed word length machine)이라고 하며 수치를 나타내는 데 고정된 비트의 수를 사용하는데 컴퓨터시스템에 따라 16비트, 32비트, 64비트 등이 있다.
- 문자정보를 표현하는 코드의 종류로는 ASCII, ANSI, UNICODE, EBCDIC 등이 있다. 최근에는 ASCII와 UNICODE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 ASCII는 미국 정보교환표준코드로 중소형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며 8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나 7비트로 정보를 표현하고 나머지 한 비트는 검증비트로 사용된다.
- UNICODE는 IBM과 마이크로소프트사를 비롯한 몇몇 회사가 세계 각국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만든 16비트 인코딩 시스템으로 최대 65,536가지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 주기억장치에서 사용되는 기억용량의 단위는 Byte, KB, MB, GB, TB, PB이고 기억장치의 호출시간을 측정하는 단위는 msec, μsec, nsec, psec이다.
- 주기억장치의 각 바이트는 그것에 관련된 고유한 주소를 갖는데, 주기억장치에 있는 이 주소는 각 바이트를 식별한다.
- 입력 레코드가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로 읽혔을 때 입력 레코드의 각 문자는 번지지정 가능한 기억장소의 위치에 저장되며 일단 데이터가 주기억장치에 기록되면, 그 데이터는 참조할 수 있고 조작할 수 있다.
- 반도체기억장치의 사용은 전자산업계의 놀라운 기술발전을 가져왔다. 트랜지스터의 발명 후 소형화 추세가 시작되었다. 1960년대 중반에는 1,000개의 회로소자를 한 개의 칩(chip)에 축소하여 넣을 수 있었으나, 2000년대에는 1,000억 개 이상의 소자를 하나의 작은 칩 안에 저장할 정도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 RAM은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으며 DRAM과 SRAM으로 구분된다. SRAM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기억된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며 주로 캐시기억장치에 이용되고 DRAM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도 내용의 소실을 방지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리프레싱(refreshing)이 요구되는 메모리이다.
- ROM은 메모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며 PROM은 생산될 때는 비어 있으나 사용자가 한 번에 한해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
- 플래시메모리는 최종 사용자가 내용을 쉽게 변경할 수 있는 비파괴메모리로 다양한 입출력장치들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들이 기록된다.
- 데이터 처리에서 입력․처리․출력은 기본적인 처리과정으로서, 데이터를 처리하기에 앞서 주기억장치에 읽어들여 기억시키는 입력과정이 필요하다.
- 기본적인 처리과정에서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기억시키는 것(입력), 주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처리), 그리고 처리된 결과를 보조기억장치로 출력하거나 우리가 볼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 필드는 구성된 자료의 한 항목을 의미하고, 레코드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한 단위로서 하나 이상의 필드로 구성되고, 파일은 동일한 형식을 갖는 레코드 전체를 의미한다.
- 출력은 크게 프린터나 모니터를 이용한 출력과 자기테이프나 자기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출력으로 구분되며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출력은 다음에 다른 프로그램에서 입력으로 읽어들여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학과공부 > 컴퓨터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의 처리 방식과 입출력 (0) | 2025.03.29 |
---|---|
컴퓨터와 통신산업의 발전 (0) | 2025.02.22 |
정보사회와 컴퓨터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