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공부/컴퓨터구조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helpilsang 2024. 10. 29. 19:03

컴퓨터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

 

 

1) 입력장치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와 명령어를 받아들여 컴퓨터가 알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기억장치나 중앙처리장치에

    전달해주는 장치를 말합니다.

 

2) 출력장치

    컴퓨터는 입력장치로부터 데이터와 명령어를 받아들여 명령대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에대한 결과를 생성시키는데 
    이렇게 생성된 결과를 사람들이 알아볼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 주는 장치를 말합니다.

 

3) 기억장치

    데이터 저장 역할을 하는 기억장치는 특성과 역할에 따라 캐시,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로 나뉩니다.

   

    ㉠ 주기억장치 : 컴퓨터에서 중앙처리장치가 처리할 데이터와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대표적으로 RAM과 ROM이 있습니다.

    -  RAM :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데이터를 계속 기억하고 있으나 전원공급이 끊기면 기억된 내용이 없어지는 휘발성 기억장치

    -  ROM : 전원공급이 끊겨도 이전의 정보가 계속 기억되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  SRAM : 기억소자에 정보가 저장되면 전원이 유지되는 한 그 데이터를 상실하지 않음

    -  DRAM :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도 일정 주기로 충전해 주어야 데이터를 상실하지 않음 

 

    * 주기억장치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가격이저렴안 DRAM으로 구성되는데 중앙처리장치에 비해 속도가 매우 느리므로, 중앙처리장치가 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가져올때 시간이 많이 낭비됨.

 

    ㉡ 캐시 : 앞에서 언급한 주기억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위해, 데이터가 중앙처리장치에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주기억장치와 중앙처리장치 사이에 위치한 기억장치이다.

     * 캐시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부피가 큰 대신 매우 빠른 SRAM으로 구성되며, 보통 수백MB의 용량

 

    ㉢ 보조기억장치 : 컴퓨터 사용자가 ㅎ련재 기억장치에 저장한 내용을 전원을 끈 다음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해줌. 

   * 자기디스크, 자기테이프, SSD, USB등이 있다.

 

 

 

중앙처리장치

 

중앙처리 장치는 컴퓨터의 두뇌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두가지 큰 역할을함

 

    1. 실제 연산 수행 ( 산술/논리 연산장치 [ALU])

    2. 각 요소들을 순서에 맞추어 작동시키는 제어작용 수행 (제어장치)

    * 데이터의 저장장소 역할을 하는 레지스터도 중앙처리장치에 포함된다.

 

    1) 산술/논리 연산장치

        사칙연산을 포함한 산술연산과 참과 거짓을 판별하는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2) 제어장치

        중앙처리장치 내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장치이다
        즉, 기억장치로부터 명령을 읽고 해석된 결과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만드는 장치이다

    3) 레지스터 

        중앙처리장치에 있는 내부기억장치로부터 연산처리를 위한 데이터나 결과등을 일시적으로 보관해 두는 장치이다.

 

시스템 버스

 

컴퓨터 구조에서 버스란 2개 이상의 장치를 연결해주는 통신선로이다.

 

    * 입력장치,출력장치,기억장치,중앙처리장치를 연결해주는 버스 = 시스템버스

      시스템버스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의미하는 내용에 따라 주소버스, 데이터버스, 제어버스로 구분됨

 

 

'학과공부 >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장치  (0) 2024.10.29
카운터  (0) 2024.10.29
레지스터  (0) 2024.10.29
순서논리회로  (0) 2024.10.29
조합논리회로  (4) 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