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공부/컴퓨터구조

레지스터

helpilsang 2024. 10. 29. 20:49

레지스터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장치이며, 크게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저장된 정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기능으로 나눌수 있다.

 

1. 데이터 적재 레지스터

 레지스터에 새로운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과정을 적재라고 합니다.

 입력된 데이터를 그대로 기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레지스터를 데이터 적재 레지스터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D플립플롭을 사용하여 구성합니다.

 

 - 데이터 적재 레지스터에는 데이터 입력방식에 따라 직렬적재방식과 병렬적재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직렬 적재방식

   

직렬 적재방식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받아들이는 방식으로 1비트씩 입력되며, 직렬입력 - 직렬출력 레지스터로 모뎀과 같은 장치에 이용된다.

 

  2) 병렬 적재 방식

 

 

 

2. 시프트 레지스터

 레지스터가 기억하고 있는 정보에 대해서 한 방향, 혹은 양방향으로 정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레지스터를 시프트 레지스터라고 합니다.

 시프트 레지스터의 구성은 플립플롭을 직렬로 연결한 것으로, 한 플립플롭의 출력을 다음 플립플롭의 입력에 연결한 것입니다.

 모든 플립플롭은 공통 클록 펄스를 가지며, 클록펄스에 따라 한단씩 자리를 이동합니다.

 

 

 

* 시프트레지스터에서 직렬전송과 병렬전송의 차이점

 직렬전송 : 하나의 직렬입력과 하나의 직렬출력을 갖는시스템으로 한방향으로 시프트하는 동안 한 번에 1비트씩 전송한다.

 직렬전송은 하나의 회로를 반복사용하므로 하드웨어 규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병렬전송 : 레지스터의 모든 비트가 1클록펄스에 동시에 전송되므로 전송속도가 매우 빠르다.

 

'학과공부 >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장치  (0) 2024.10.29
카운터  (0) 2024.10.29
순서논리회로  (0) 2024.10.29
조합논리회로  (4) 2024.10.29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0) 2024.10.29